AWS(Amazon Web Service)

1. 개요 AWS의 보안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는 해킹을 당하거나 비밀번호가 유출되었을 때 비용이 청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년 간의 프리티어가 끝난 뒤를 위해서라도 우린 최소한의 방어막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진행해볼 것은 로그인에 필요한 2차 비밀번호를 설정해보는 것입니다. 즉, 자신의 AWS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추가적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에 나오는 2차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1.1 먼저 AWS 관리 콘솔에 들어옵니다. 먼저 말씀드리면 IAM -> MFA로 가야 2차 비밀번호(OT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이 중요하지, 용어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용어를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바로 아래 간단히 정리해뒀으니 더 알고 싶으시면 가장 아래 추가해둔 AWS 공식..
1. 개요 스팟 인스턴스는 온디맨드 가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사용 EC2 인스턴스입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큰 할인율로 미사용 EC2 인스턴스를 요청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용자는 Amazon EC2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습니다. 스팟 인스턴스의 시간당 가격을 스팟 가격이라고 합니다. 각 가용 영역 내 인스턴스 유형별 스팟 가격은 Amazon EC2에서 설정하며, 스팟 인스턴스의 장기적 공급 및 수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정됩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용량이 가용 상태이고 요청에 대한 시간당 최고 가격이 스팟 가격보다 더 높을 때마다 실행됩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할 수 있는 경우에 선택하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예를..
AWS에서는 서버 하나 하나를 '인스턴스'라 부른다. EC2 서비스의 인스턴스는 가상의 공간에 존재하는 서버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서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스턴스는 비용이 들게 되는데 AWS에 처음 가입하는 사람들은 프리 티어라는 이름으로 1년 간의 무료 사용 혜택을 받지만 그 기간이 지나면 얄짤 없이 금액이 청구된다. 요금이 들면 꼭 이메일 등의 알림이 오도록 설정해두길 추천하고, 개인으로 이 서비스를 신청했다면 이메일을 더 자주 확인하길 바란다.
오늘은 AWS(Amazon Web Service)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이는 코멘토라는 직무 부트캠프의 과제 중 하나로, 서버 구축 수업을 듣고 있다. 진행하다가 너무 많은 벽들을 만나 힘들었다 ㅠ_ㅜ 일단 아마존의 본사는 워싱턴 주 시애틀에 있으므로 외국 기업이고, 다국적 기업이다. 그러다 보니 아무리 우리 친절하신 Chrome 형님이 번역을 해줘도 알아듣게 의역은 못해주기 때문에 꽤 버벅거렸다. 차라리 영어로만 보는 게 나을 상황도 가끔 생긴다 ㅎㅎ.. 항상 아시아 태평양으로 서울을 맞추고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요금 정보가 외국으로 맞춰져 관리하기 상당히 귀찮아진다. ap-northeast-2가 서울 서버이다. 이 서버가 바뀌면 저장되어 있는 내용도 바뀌니 꼭 알아..
jayoon
'AWS(Amazon Web Servic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