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Git, Source Tree

개요 기존에는 github에서 Repository를 먼저 생성하고, repository의 ssh주소를 복사하여 git clone 방식으로 처음부터 git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에서 파일 버전 관리를 해왔다. 그러나 오랜만에 기존 작업물이 존재하고, github에서 새롭게 repository를 만들어 git을 연결하려니 기억이 안 나 찾아봤고, 이를 정리해보려 한다! (2021년 9월에 42서울 피신을 하며 했던 작업인데 너무 오래 전이라 기억이 안 나....) 주의 기존에 .git 디렉토리가 존재했다면 이미 버전관리가 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방법 먼저 github repository를 생성한다. 터미널에서 git과 연결 시킬 directory로 이동한다.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hu..
요즘 우분투를 이용해서 편안하게 git add부터 push를 하고 있던 참인데 잔디가 채워지지 않았다. 분명 10월 1일부터 열심히 push해왔는데 ㅠㅜㅜ 어제도 했는데 왜 안 될까 찾아봤다. 그래서 나타나는 메시지를 확인해본 결과... github의 권한을 가져오지 않고 local 도메인으로 push를 하고 있었고... 저기 나오는 세 개의 명령어만 입력하면 바로 github 권한으로 commit할 수 있었다~~ 유후~
1. 본문 1.1 Pull requests란??? main branch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도전 등의 이유로 새로운 개발을 하게 되면 기존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바로 Branch(분기)이다. 새로운 branch로 작성된 이후 팀원 또는 자신의 결정에 의해 main과 합칠 수 있는데 이 기능이 바로 'Pull requests'이다. 새 branch로 작성된 곳에서 팀원들과의 토의 이후에 master(main)으로 합치는 과정이다. 혼자 작업하는 프로젝트라면 팀원들의 허락이 필요 없고, 오픈 소스라면 누구든지 나에게 Pull requests를 할 수 있다. 1.2 실습 1) GitHub에 들어와 Pull requests를 클릭한다. 2) New pull request를 클..
1. 상세 내용 1.1 GitHub, 첫 시작 먼저 나는 GitHub라는 플랫폼을 연습하기 위해 무작정 시작했다. GitHub에 바로 Local 파일들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Pages라는 호스팅 서비스를 맛봤다. 미리 HTML로 허접한 웹페이지를 만들었다. Local 파일들이란 자신의 컴퓨터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지칭하며, HitHub Pages의 호스팅 서비스는 쉽게 말하면 GitHub에 서버를 빌려 자신이 직접 인프라를 갖고 있지 않아도 웹을 인터넷 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허접한 Web 만드는 중.....>>> https://brixxt27.github.io/guidey/ 가이드 윤의 방 : Welcome brixxt27.github.io (아직은 굉장히 허접한 ..
1. 성찰 및 공부 내용 1.1 GitHub...새로운 땅을 개척하기는 역시 힘들다...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해 GitHub를 사용하기로 했다. 먼저 GitHub란 파일의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매우 편리하여 현재 가장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친구이다. 하지만 이는 완벽한 번역이 되어 있지 않아 영어로 보는게 더 편하기도 하고, 생각보다 개념이 어렵다. 그래도 드디어 이해를 해버렸다…ㅎㅎ GitHub를 처음 사용해 보면서 느낀 점은 굉장히 자유롭다는 것이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 굉장히 불친절하다. 덕분에 생활코딩의 힘을 빌려 Git과 Git Server(GitHub) 그리고 Git Client(Source Tree)의 개념을 이해했다. 오늘은 간단하게 Git, GitHub, source tree에..
jayoon
'GitHub, Git, Source Tre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