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수만을 다루는 변수를 선언할 때 굳이 8바이트를 다루는 자료형인 long, float, double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메모리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좋은 프로그래머라 할 수 없다. 왜냐면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제품은 사용하는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냉장고, TV 등 높은 사양이 필요 없는 곳에는 조금이라도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려고 애쓸 것이다. 따라서 변수 하나를 선언하더라도 저장하고자 하는 값의 범위를 생각하고, 그에 맞는 자료형을 선택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코딩을 해야 한다.
메모리

sizeof(a)는 a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바이트 수를 알려주는 연산자이다. 따라서 sizeof(int)는 int 자료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 몇 바이트를 사용하는지 알려준다. 실행 결과로 4가 나오게 되는데 정수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는 4 Byte의 메모리가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사진은 위의 printf 함수를 실행한 결과이다. 이 코드에서처럼 int 자료형 변수를 선언하면 4바이트, 즉 32비트의 메모리 공간이 생깁니다. Tip) 사람이 사용하는 숫자는 0~9까지이며 이를 10진수라고 한다. 하지만 컴퓨터는 0과 1 두 가지 숫자만 사용하며 이를 2진수라고 한다. 컴퓨터는 '전기가 켜졌다' 또는 '전기가 꺼졌다'와 같이 두 가지 상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제를 모두 0과 1로만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