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값을 출력하기 위해선 꼭 변수 선언과 값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도 되고, 선언 뒤에 초기화를 해도 되지만 꼭 초기화를 해야한다는 이야기이다. 아래는 변수 이름을 정할 때의 규칙을 소개해드려고 한다. 이 규칙들을 지키지 않으면 컴파일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하므로 꼭 주의하길 바란다. 1. 변수 이름은 문자나 숫자 또는 _(밑줄)로 구성할 수 있으나 숫자로 시작할 수는 없다. ex) int _3a; (가능), int 3a; (불가능) 2.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ex) int a;와 int A;는 서로 다르다. 3. C 언어에서 예약어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다. ex) int float;과 double int;는 불가능하다. 4. 특수 문자는 변수 이름에 들어갈 수..
변수

1. 변수의 저장 범위 int는 정수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4바이트 사용한다. 컴퓨터는 2진수로만 정보를 처리하고, 이때 0과 1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비트라고 한다. 비트는 컴퓨터가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 공간으로, 8개의 비트가 모인 공간을 바이트라고 한다. 그러므로 4바이트는 32비트와 같다. 정리하면 n비트로 저장 가능한 숫자의 범위는 0 개부터 (2^n-1) 개까지 이다. 예를 들어 4바이트는 32비트이므로 n = 32이다. 2^32 = 4,294,967,296 이고, 모든 정수는 양수와 0 그리고 음수까지 표현하기 때문에 2로 나눈 -2,147,483,648 부터 2,147,483,647까지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범위를 벗어나면 int 자료형을 사용해서 저장할..
1.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int a; // 정수형 변수 a 선언 a = 5; // 변수 a 초기화 변수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int a = 5; 2. 응용 예시 1) int a; int b; int c; int d; int e; 5개의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위와 같이 했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는 보통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int a, b, c, d, e; 2) int a = 3; int b, c; => int a = 3, b, c;

1) 변수를 선언할 때 한 가지의 숫자가 아니라 연산을 중간에 포함시킬 수 있다. 2) %d는 1장에서 언급했듯이 서식 지정자이다. 이때 d는 decimal 즉, 10진수의 약자로 %d는 곧 '10진수로 값을 출력하겠다'는 의미입니다. 10진수는 정수이므로 %d에 해당하는 변수는 반드시 정수형 변수여야만 합니다. 3) 서식 지정자 %d가 나오면 꼭 뒤에 콤마가 오고, 변수나 상수가 오게 된다. %d는 정수 자료형 변수이므로 정수 이외에는 올 수 없다. C언어에서 곱셈 연산자는 x가 아니라 *이다.

1. 개념 정리 1) stdio는 standard input/output의 의미이므로 IDE로 Visual Studio를 사용한다고 해서 st'u'dio라고 적는 일이 없도록 한다. #include 는 stdio라는 헤더 파일을 포함(include)한다는 의미이다. 이 헤더 파일 안에 앞으로 다룰 printf나 scanf 같은 명령어들의 내용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C를 사용한다면 이와 같은 구조의 글을 써야 헤더 파일을 불러와서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int int로 정수형 변수를 선언한다는 의미이고, 바로 뒤에 선언할 변수를 입력한다. 등호는 뒤의 값을 앞의 변수에 대입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정수만 들어가는 상자를 생성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이를 정수 자료형(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