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 성찰 1.1 블로그 어제부터 시작한 블로그는 생각보다 사람이 꽤 들어온다. Web의 알고리즘을 아직 깊게 공부하지 않아서 확실치 않지만 구글은 크롤링을 통해 이용자에게 웹을 추천해준다. 1.2 구글의 알고리즘 구글의 알고리즘은 인터넷상의 모든 웹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스파이더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이때 웹 페이지를 크롤링한다고 하는데 기어다닌다는 의미이다. 크롤링은 인터넷에 있는 모든 웹페이지를 찾을 때까지 지속된다. 스파이더는 일단 몇 개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해서 색인(=index =목록)이라는 웹페이지 목록에 추가한다. 그리고 각 웹페이지에서 밖으로 나가는 링크, 즉 외부 링크를 따라가서 또 새로운 웹페이지를 색인에 추가한다. 그렇게 더는 새로운 웹페이지를 찾..
1. 개요 스팟 인스턴스는 온디맨드 가격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사용 EC2 인스턴스입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큰 할인율로 미사용 EC2 인스턴스를 요청할 수 있게 해주므로 사용자는 Amazon EC2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습니다. 스팟 인스턴스의 시간당 가격을 스팟 가격이라고 합니다. 각 가용 영역 내 인스턴스 유형별 스팟 가격은 Amazon EC2에서 설정하며, 스팟 인스턴스의 장기적 공급 및 수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정됩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용량이 가용 상태이고 요청에 대한 시간당 최고 가격이 스팟 가격보다 더 높을 때마다 실행됩니다. 스팟 인스턴스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중단할 수 있는 경우에 선택하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예를..
AWS에서는 서버 하나 하나를 '인스턴스'라 부른다. EC2 서비스의 인스턴스는 가상의 공간에 존재하는 서버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아도 서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스턴스는 비용이 들게 되는데 AWS에 처음 가입하는 사람들은 프리 티어라는 이름으로 1년 간의 무료 사용 혜택을 받지만 그 기간이 지나면 얄짤 없이 금액이 청구된다. 요금이 들면 꼭 이메일 등의 알림이 오도록 설정해두길 추천하고, 개인으로 이 서비스를 신청했다면 이메일을 더 자주 확인하길 바란다.
오늘은 AWS(Amazon Web Service)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이는 코멘토라는 직무 부트캠프의 과제 중 하나로, 서버 구축 수업을 듣고 있다. 진행하다가 너무 많은 벽들을 만나 힘들었다 ㅠ_ㅜ 일단 아마존의 본사는 워싱턴 주 시애틀에 있으므로 외국 기업이고, 다국적 기업이다. 그러다 보니 아무리 우리 친절하신 Chrome 형님이 번역을 해줘도 알아듣게 의역은 못해주기 때문에 꽤 버벅거렸다. 차라리 영어로만 보는 게 나을 상황도 가끔 생긴다 ㅎㅎ.. 항상 아시아 태평양으로 서울을 맞추고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요금 정보가 외국으로 맞춰져 관리하기 상당히 귀찮아진다. ap-northeast-2가 서울 서버이다. 이 서버가 바뀌면 저장되어 있는 내용도 바뀌니 꼭 알아..
1. 본문 1.1 Pull requests란??? main branch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도전 등의 이유로 새로운 개발을 하게 되면 기존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그것이 바로 Branch(분기)이다. 새로운 branch로 작성된 이후 팀원 또는 자신의 결정에 의해 main과 합칠 수 있는데 이 기능이 바로 'Pull requests'이다. 새 branch로 작성된 곳에서 팀원들과의 토의 이후에 master(main)으로 합치는 과정이다. 혼자 작업하는 프로젝트라면 팀원들의 허락이 필요 없고, 오픈 소스라면 누구든지 나에게 Pull requests를 할 수 있다. 1.2 실습 1) GitHub에 들어와 Pull requests를 클릭한다. 2) New pull request를 클..
1. 상세 내용 1.1 GitHub, 첫 시작 먼저 나는 GitHub라는 플랫폼을 연습하기 위해 무작정 시작했다. GitHub에 바로 Local 파일들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Pages라는 호스팅 서비스를 맛봤다. 미리 HTML로 허접한 웹페이지를 만들었다. Local 파일들이란 자신의 컴퓨터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을 지칭하며, HitHub Pages의 호스팅 서비스는 쉽게 말하면 GitHub에 서버를 빌려 자신이 직접 인프라를 갖고 있지 않아도 웹을 인터넷 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허접한 Web 만드는 중.....>>> https://brixxt27.github.io/guidey/ 가이드 윤의 방 : Welcome brixxt27.github.io (아직은 굉장히 허접한 ..
1. 성찰 및 공부 내용 1.1 GitHub...새로운 땅을 개척하기는 역시 힘들다...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해 GitHub를 사용하기로 했다. 먼저 GitHub란 파일의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매우 편리하여 현재 가장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친구이다. 하지만 이는 완벽한 번역이 되어 있지 않아 영어로 보는게 더 편하기도 하고, 생각보다 개념이 어렵다. 그래도 드디어 이해를 해버렸다…ㅎㅎ GitHub를 처음 사용해 보면서 느낀 점은 굉장히 자유롭다는 것이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사용자에게 굉장히 불친절하다. 덕분에 생활코딩의 힘을 빌려 Git과 Git Server(GitHub) 그리고 Git Client(Source Tree)의 개념을 이해했다. 오늘은 간단하게 Git, GitHub, source tree에..
작성 중.. (도입부 내 썰 늘여놓기) 나는 먼저 시간 관리 앱을 만들고 싶다. https://band.us/n/a9a05e53zcP30 '매일 운동하기, 규칙적으로 자기, 일찍 일어나기, 코로나 블루 떨쳐내기' 밴드에 초대합니 매일 규칙적으로 자기, 운동하기(숙면 Tip 제공) 매일 규칙적인 수면, 운동, 공부, 취미 등을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미션 밴드입니다. 멤버들과 함께 미션을 하다보면 어느새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band.us 그리하여 내 이상향과 가장 비슷한 밴드라는 웹과 앱으로 내 목표를 먼저 시험해보고 있다. 이 밴드를 소개해드리자면 세 가지의 미션이 존재하고, 매일 구성원들은 이 세 가지 미션을 수행한다. 양식은 정해져 있지만 자유롭게 작성해도 된다. 굉장히 쉬워보이지만 '매일' 진행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