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하고 싶은 것들을 하며 성공하기
· C언어
3.1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함수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특징은 네 가지가 있다. 1) 프로그래밍의 흐름이 순차적이다. 즉 진행 순서가 위에서 아래로 흘러가면서 순서대로 실행된다. 2) 조건에 따른 분기를 통해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순차적으로 진행하다가 조건을 만나면 흐름이 바뀌기도 하고, 다시 합쳐지기도 하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야한다. 3) 반복문을 사용해서 프로그래밍의 흐름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기능을 모듈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별도의 기능을 함수로 구현한다는 의미이다. 3.2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매번 수행 방법은 같지만 입력은 다른 일을할 때 함수를 사용하면 입력이 달라지더라도 쉽게 모듈을 재사용할 수 있다. 3.3 함수의 선언 함수의 선언 형식으로는 '출력 ..
· C언어
작은 수만을 다루는 변수를 선언할 때 굳이 8바이트를 다루는 자료형인 long, float, double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메모리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좋은 프로그래머라 할 수 없다. 왜냐면 우리가 사용하는 각각의 제품은 사용하는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냉장고, TV 등 높은 사양이 필요 없는 곳에는 조금이라도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려고 애쓸 것이다. 따라서 변수 하나를 선언하더라도 저장하고자 하는 값의 범위를 생각하고, 그에 맞는 자료형을 선택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코딩을 해야 한다.
-산출물은 불확실해도 투입물은 확실하다. 원하는 삶을 살려면 가치관을 실천하기 위한 시간을 배정하는 데만 집중하자. -가족과 친구에게 사용할 시간도 따로 계획해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의미 없는 시간 때우기로 오히려 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 -좋은 교우 관계에 대해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연구를 했는데 윌리엄 롤린스 대인커뮤니케이션 교수는 '만족스러운 교우 관계에는 대화할 사람, 의지할 사람, 같이 있으면 재밌는 사람 이렇게 세 가지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은 찌꺼기 시간을 받는 데 만족해야 할 존재가 아니다. 누군가가 소중한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그 사람을 위한 일정을 잡자. -직장에서 나와 비즈니스적으로 자주 만나는 사람이나 중요한 사람과는 자신의 일정을 공유하고 조율하자. ..
· C언어
변수 값을 출력하기 위해선 꼭 변수 선언과 값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도 되고, 선언 뒤에 초기화를 해도 되지만 꼭 초기화를 해야한다는 이야기이다. 아래는 변수 이름을 정할 때의 규칙을 소개해드려고 한다. 이 규칙들을 지키지 않으면 컴파일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하므로 꼭 주의하길 바란다. 1. 변수 이름은 문자나 숫자 또는 _(밑줄)로 구성할 수 있으나 숫자로 시작할 수는 없다. ex) int _3a; (가능), int 3a; (불가능) 2. 변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ex) int a;와 int A;는 서로 다르다. 3. C 언어에서 예약어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다. ex) int float;과 double int;는 불가능하다. 4. 특수 문자는 변수 이름에 들어갈 수..
· C언어
지금까지 변수를 선언하고, 정수나 실수 등 숫자로 초기화하는 것들만 다뤄봤는데 이번엔 문자로 초기화하는 것을 다뤄보겠다. 컴퓨터는 2진법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문자도 2진법으로 표현해준다면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공통적으로 모두 하나의 규격으로 사용하자라고 만든 것이 아스키 코드이다. 이는 따로 외우지 않아도, 표를 보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숫자로 초기화하는 것 뿐 아니라 직접 문자를 넣을 수 있다. 직접 확인해보자. 이 때 문자형은 새로운 자료형 변수 선언 형태를 띄는데 char(character variable)을 사용한다. 이 값은 아래와 같이 나온다. 문자 자료형에 숫자로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문자가 출력이 되고, 작은 따옴표(') 안에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를 직접 넣어도 변수 초기화..
· C언어
1. 변수의 저장 범위 int는 정수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4바이트 사용한다. 컴퓨터는 2진수로만 정보를 처리하고, 이때 0과 1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비트라고 한다. 비트는 컴퓨터가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 공간으로, 8개의 비트가 모인 공간을 바이트라고 한다. 그러므로 4바이트는 32비트와 같다. 정리하면 n비트로 저장 가능한 숫자의 범위는 0 개부터 (2^n-1) 개까지 이다. 예를 들어 4바이트는 32비트이므로 n = 32이다. 2^32 = 4,294,967,296 이고, 모든 정수는 양수와 0 그리고 음수까지 표현하기 때문에 2로 나눈 -2,147,483,648 부터 2,147,483,647까지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범위를 벗어나면 int 자료형을 사용해서 저장할..
· C언어
1.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int a; // 정수형 변수 a 선언 a = 5; // 변수 a 초기화 변수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int a = 5; 2. 응용 예시 1) int a; int b; int c; int d; int e; 5개의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 위와 같이 했지만,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는 보통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int a, b, c, d, e; 2) int a = 3; int b, c; => int a = 3, b, c;
· C언어
sizeof(a)는 a를 저장하는 데 필요한 바이트 수를 알려주는 연산자이다. 따라서 sizeof(int)는 int 자료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 몇 바이트를 사용하는지 알려준다. 실행 결과로 4가 나오게 되는데 정수형 변수를 저장하는 데는 4 Byte의 메모리가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사진은 위의 printf 함수를 실행한 결과이다. 이 코드에서처럼 int 자료형 변수를 선언하면 4바이트, 즉 32비트의 메모리 공간이 생깁니다. Tip) 사람이 사용하는 숫자는 0~9까지이며 이를 10진수라고 한다. 하지만 컴퓨터는 0과 1 두 가지 숫자만 사용하며 이를 2진수라고 한다. 컴퓨터는 '전기가 켜졌다' 또는 '전기가 꺼졌다'와 같이 두 가지 상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제를 모두 0과 1로만 표현..